사실 탄천에 너구리가 출몰한다는 현수막을 보긴했지만 실제로 본적은 없었답니다. 나름 신기한 경험을 했습니다.
왼쪽 사진이 2016년 8월17일에 찍은 사진이고 오른쪽 사진은 2016년 8월24일에 찍은 사진입니다.
사람이 다가가자 약간의 경계심을 갖긴했지만 막 도망가고 그러진 않았습니다. 그러니 사진을 찍을수 있었겠죠? 처음엔 무리에서 떨어져 혼자있나 생각했는데 2마리가 다니는 걸보니 그냥 어설렁거리며 돌아다니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. 물론 같은 애 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. 너구리가 굉장히 귀엽긴하지만 야생너구리는 광견병 위험이 있다고 합니다. 혹시라도 맞닥뜨리게되면 그냥 멀리서 지켜만 보시길 바랍니다.
참고로 너구리에 대해 간단히 알아봅시다.
너구리의 몸길이는 50~60㎝, 몸높이는20㎝, 꼬리 길이는 13~25㎝ 정도이며, 체중은 보통 4~6㎏정도 됩니다. 흔히 마주치는 강아지 사이즈로 보면 되겠습니다. 너구리도 곰과 마찬가지로 겨울잠을 자는 종족인데요, 겨울잠을 자기 바로 전에는 몸무게가 6~10㎏으로 불어납니다. 평상시의 2배정도로 무거워지네요.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참 신기합니다. 너구리의 털 길이는 약 5~10㎝정도로 구불구불한 것이 많으며 겨울에는 추위를
견디기 위하여 털이 더욱 길어진다고 합니다. 몸통 빛깔은 전체적으로 황갈색이고 어깨·등·꼬리의 털끝은 검은색입니다. 위에 사진을 보니 의심의 여지 없이 너구리가
확실합니다. 눈 주위와 발목 아래는 검은빛이며 꼬리는
덥수룩합니다. 너구리의 발가락은 4개이며, 발자국은 개 발자국과 유사한데, 가운데 발가락 2개의 아랫부분이 서로 붙어있다는 것이 개와
다른 점입니다. 발자국 폭은 4㎝ 정도이며, 뒷발은 약간 더 길고 좁다합니다. 발 폭은 2㎝ 정도입니다.
지구상에 개과의 포유류는 34종이
분포하며, 우리나라에는 개·너구리·늑대·여우·승냥이에 대한 기록이 있으나, 아쉽게도 현재 볼 수
있는 것은 개와 너구리 단 2종 뿐입니다. 천적이 없어 도시 인근의 산림이나 하천에서도
흔하게 볼 수 있다는데, 드디어 탄천에서 발견되었습니다. 너구리는 환경에 대한 적응성도 뛰어난데, 도시
지역에서 개체 수가 증가하는 현상은 적응성 이외에도 천적의 감소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